뉴스 > 테마 > 이구동성

[이구동성] 게임 가격 8만원대 시대 왔다

/ 1


새로운 시대가 열렸습니다. 바로 풀 프라이스 게임 8만 원대 시대입니다. 대략 PS5와 Xbox 시리즈 X/S 출시 즈음부터 소니, EA, 2K, 액티비전 블리자드 등 다수 대형 게임사가 AAA급 게임 가격을 서서히 인상하더니, 줄곧 버텨오던 유비소프트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도 내년부터 8만 원 클럽(70달러)에 합류하겠다고 밝힌 것이죠. 물론 플랫폼이나 게임 비중에 따라 더 싼 게임도 얼마든지 나오긴 하지만, PC와 거치형 콘솔에서의 AAA급 게임을 기준으로 하면 확실히 8만 원대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게임 풀 프라이스 가격 논쟁이 시작된 건 꽤 오래전부터입니다. 사실 게임 패키지 가격은 물가 인상에 비해 많이 오르지 않은 편입니다. 지금보다 물가가 훨씬 쌌던 90년대에도 게임팩 가격은 3~5만원대였고, 2000년 중반 PS3나 Xbox360 시절부터 AAA급 게임 가격은 5~6만 원대로 이어져 왔습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옛날보다 가격이 떨어졌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게임 시장이 커지면서 AAA급 게임은 수백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는 경우가 많아졌고, DLC 등 추가 과금정책이 도입되면서 게임 본체 가격은 한동안 방어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게임 품질이 꾸준히 높아지고 개발자 임금이 높아지며 개발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오름에 따라, 점차 제조 비용 대비 판매가격이 낮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시장 분위기를 고려해 일부 게임을 제외하면 가격을 올리는 것을 주저해 왔지만, 현세대 콘솔 발매를 방아쇠 삼아 다들 가격을 인상하는 분위기가 형성됐습니다.

게이머들의 반응은 어떨까요? 먼저 생각보다 덤덤하게 받아들이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게임메카 ID 진지보이 님 “게임도 갈수록 유지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거지”, 미친소 님 “물가 상승을 생각하면 아쉽다고 말하기 애매하다” 등의 의견이 그것이죠 TBZ 님은 “타 게임사들도 하나둘씩 올리는 마당인데, 아무리 공룡 기업 MS라도 버티는 데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라며 “안 오르는 물가가 없는 와중에 내년으로 기준을 정한 건 타이밍을 잘 잡은 거 같다”고 MS의 이번 결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반발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핵심 논거는 게임 가격이 높아졌다고 해서 게임의 완성도가 이게 걸맞게 높아지진 않았다는 것입니다. 게임메카 ID 검은13월 님 “올리는데 게임성은 그만큼 올라가나?”, 4월이왔어 님 “게임 가격이 높아지니까 출시해도 좀 지켜보고 사게 되고, 그만큼 감흥도 더 떨어진다” 등의 의견이 그것이죠. rpdlaapzk 님 “물가 상승으로 게임 가격도 다 올라가고 이것도 점점 당연한 가격으로 굳어지겠지만, 그만큼 게임성으로 승부를 보는 게임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가격 인상에도 합리적인 이유가 있듯, 이를 탐탁치 않게 여기는 측에게도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따라서 게임사는 가격과 함꼐 게임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고 패키지 구매 후 추가 과금을 줄이는 등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반대로 소비자는 구독 서비스나 여러 버전을 비교해 가며 게임 구매에 보다 신중해질 필요가 있을 겁니다. 그래야 자연스럽게 높아진 가격에 맞춘 선의의 경쟁을 유발할 수 있을 테니까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rpdlaapzk (증정서적: 볼진: 호드의 그림자)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이재오 기자 기사 제보
댓글 18 (댓글을 달면 1포션이 지급됩니다)

달빛이머무는꽃2022.12.09 17:59

신고삭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냥레2022.12.09 19:34

신고삭제

기사 나오자마자 디아블로 일반판 95000이구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드림캐스트2022.12.09 22:08

신고삭제

아무래도 가격이 오르면 구매에 신중해질 수 밖에 없겠죠.

모란2022.12.09 22:10

신고삭제

스위치만 혜자네

달빛이머무는꽃2022.12.11 16:38

삭제된 내용입니다.

Greencheek2022.12.09 22:29

신고삭제

안사주면된다

meath2022.12.09 23:30

신고삭제

가격대비 퀄리티가 올라간다는 보장이 없는데 이런 식으로 가면 불매운동이라도 한번 해볼정도의 강렬한 브레이크를 걸어볼 필요가 있을듯 싶습니다. 하지만 모바일게임에 과금유도와 실제구매액들을 생각하면 한발짝 물러나 생각해 볼수도 있겠군요.

아이쿠루2022.12.09 23:37

신고삭제

시즌패스는 별도 구매입니다. 고갱님.

유각2022.12.10 09:35

신고삭제

30년전 슈패컴도 8~9만원대에 팔던 게임팩들이있었으니까..

myyou752022.12.10 12:50

신고삭제

내가 엊그제 디아블로 8만원 이상이라고 표시 했는데 오늘 진짜 딱 8만원 이상 나옴......

갓바우2022.12.10 14:37

신고삭제

용돈으로 구입하기엔 이제 부담되는 가격이네요.
직장인들이 주고객이 되겠어요.

Greencheek2022.12.11 01:40

신고삭제

직장인도 엄청 부담됩니다 디아4 가격이 거의 10만원이던데 어후..

번개홍련2022.12.11 01:14

신고삭제

게임가격 오만원이라는 헛소리를 묵묵히 보고왔지만 도저히 참을수 없어서 한자 적는데 대부분 7만원이상인지 오래됐고 문명은 반토막게임성으로 출시하고 필수dlc로 게임성이 완성되서 가격을 15만원으로 봐야하고 삼국지는 원판과 똑같은 가격에 파워업키트로 합치면 18만원이상이다. dlc출시전에 욕먹은게임들 수두룩하고 실제 출시가격은 10만원넘은지 몇년된거 모르는 유저가 없다

기톨2022.12.11 02:02

신고삭제

지금 물가가 엄청 오른 시대라서 오르는 것은 좋다 이거야!
근데 앞으로 물가 내려가면 내려가지 않으니까 그게 문제
비정상적으로 급격하게 상승했으면 가격인하도 보여달라

hephep2022.12.11 03:33

신고삭제

가격이 올라가도 그 이상의 퀄리티를 보여준다면 혜자가 되겠지만 그게 아니라 단순히 가격만 인상되는 거라면 소비자들은 돌아설 것 같네요

buddhakj2022.12.11 07:38

신고삭제

디아 4가 9만 원에 나오면서 8만 원 가격도 무색해졌네요
오른다 오른다 했는데 너무 급격하게 오르는데 이게 맞는건가 싶습니다

행복슴2022.12.11 12:56

신고삭제

재미있으면 10만원도 내준다

링크2022.12.11 21:36

신고삭제

다른 취미보다는 아직도 저렴한건 맞는데.. 예전처럼 데모라도 뿌리면서 비싸게 팔아야지... 체험할 기회는 적은데 바로 구매해야되는 점은 많은 부담으로 다가오네요. 스트리머들이 재밌게 하더라도 직접 해보지않으면 그 느낌이 전달되지 않는데 데모들은 없고 바로 가격인상뿐.. ㄷㄷㄷ

동네백수2022.12.12 08:46

신고삭제

일단 예약구매는 좀 신중하게 할 때가 됐어요 통수도 많이 맞았고 가격도 쎄졌고,
환율 때문에 8만원 시대가 아니라 9만원 10만원 시대가 돼버려서 70달러가 9만5천쯤 하죠 지금

에 달린 기사 '댓글 0' 입니다.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