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부터 5년 간 남아있던 한한령 먹구름이 물러가나 싶었는데, 또 하나의 위기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한·중 외교문제가 있죠. 지난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양안 문제에 대해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에 반대한다’라며 중국을 겨냥한 발언을 했고,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에서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반박하며 불거졌습니다.
아직 직접적인 움직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21일 주식 장이 열리자마자 한빛소프트, 넥슨게임즈, 데브시스터즈 등 중국 판호 발급 후 상승세를 보였던 곳을 포함해 게임주가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으로 주식시장 전반이 좋지 않았던 여파도 있겠으나, 판호 게임사들의 하락폭이 유독 심했던 데는 중국과의 외교적 대립 조짐의 영향이 큽니다. 일각에서는 또 한 차례 한한령이 오는 것이 아니냐는 예측도 나오고 있죠.
2022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1년 국내 게임산업 수출액 중 중국은 3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2017년 후 4년 간 판호가 나오지 않아 신작을 낼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 비중이기에 쉽게 무시할 수 없는 시장입니다. 업계 입장에서는 그간 막힌 중국 수출길이 열리면서 훈풍이 불어오는가 싶던 찰나, 이후 전망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죠.
한·중 외교관계가 어떻게 돌아갈 지, 그것이 게임업계에 어떤 파급 효과를 미칠 지 유심히 지켜볼 때입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초심을 잃지 말자. 하나하나 꼼꼼하게.risell@gamemeca.com
게임일정
2025년
04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행복슴2023-04-23 16:01
신고삭제글로벌 운운을 거의 7,8년 전부터 했는데 아직도 중국 아니면 해외에 돈 빨 구석이 없다는게 진짜
진지보이2023.04.21 18:39
신고삭제총체적 난국
악마이2023.04.22 13:32
신고삭제중국이 25년인가 24년에 대만 쳐들어간다고 하지 않았나?
미친소2023.04.22 23:13
신고삭제그냥 적당하게 맞춰주고 가만히 있지...
나다2023.04.23 06:47
신고삭제겨우 번전 근처인디....대시 개폭락....3년.....에휴.....썩렬이 주둥이 재봉틀로 박고잡다...주둥이에 말뚝 박고 잡다....ㅜㅜㅜㅜ 모지리에 빙신새끼 ... 주둥이가 나라말아 쳐묵긋다.....ㅜㅜㅜ
인생 추접하게 살지 말고... 그만 내려놓고 술이나 쳐묵어라ㅡㅡ내세금 아깝고..국민들 피곤타....빙신아...
Richard2023.04.23 08:41
신고삭제역시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
행복슴2023.04.23 16:01
신고삭제글로벌 운운을 거의 7,8년 전부터 했는데 아직도 중국 아니면 해외에 돈 빨 구석이 없다는게 진짜
소여2023.04.23 17:34
신고삭제지들 주식 폭락했다고 중국에 비위 맞춰주자는 애들은 대체 ㅋㅋㅋㅋ
쿼드제로2023.04.23 21:15
신고삭제중국에 의존하는것도 좀 인도나 미국으로 공략 해보셔야지..
현질망겜만 의존하는것도..아닌듯
MarStone2023.04.24 09:39
신고삭제한국 게임업체들 중국에 대한 미련 아직도 갖고 있나?? 대단하다. 스팀이나 자체 서비스 등등 해외 수출길 차고 넘치는구만... 동남아 게임도 한국 스트리머가 게임방송도 하는 시대에 아직도 중국
Naro2023.04.24 10:14
신고삭제이게 다 투표의 업보다
프록시마2023.04.24 10:24
신고삭제게임사들도 중국말고 다른 나라를 개척하시길..
sakikkun2023.04.24 10:49
신고삭제중국도 조만간 열길겁니다.
동네백수2023.04.24 11:33
신고삭제포기하기엔 중국시장이 너무 크긴 해요
헐리웃 유명 상남자 배우도 얼마 전에 말실수 했다가 중국 좋아한다고 별걸 다 올렸잖아요
그 배우 그런 모습 처음 본다고 난리였는데
김단비2023.04.24 15:12
신고삭제판호가 나오지 않은지 4년이나 지났는데도 기존 작품으로만 중국이 수출액의 1/3을 차지한다니 놀랍네요. 한중 외교 흐름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또다시 수출길이 닫힐 수도 있을 것 같아 염려되네요. 최근 게임사들에게 영향을 주는 리스크가 부쩍 늘은 듯 합니다.
rda****2023.04.24 17:14
신고삭제댓글이던, 기사 내용이던 간에 반응을 요약하자면.
1. 한국게임시장이 한한령에 영향을 받는다.
이건, 단순히 게임시장 외에도 타 시장에도 영향을 받는 분야 중 하나. 특히나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에서 한 국가와 외교 갈등은 타격이 크다고 볼 수 있음. 나는 기름쪽이라서 아랍권 이번에 200만 줄인다고 해서 죽을 맛.
결국 하나의 사건에 일희일비하기엔 우리나라가 내수보다는 외수사업 위주이니 어쩔 수 없다고 봄.
2. 다른 나라 시장은 용이한가? 활로 개척이 가능한가?
아시아권 시장 중 거론되는 곳이 동남아와 인도가 대표적인 사례인데, 동남아의 인구와 중국의 인구를 비교하면 월등히 중국의 인구가 크고, 휴대폰과 같은 기술이 전파된 나라는 많지 않음. 정확히는 보급률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물론 중국도 이촌향도로 인해서 도농격차 심한 곳이긴 한데 그래도 인구 밀집지역은 기본 시설은 깔려 있으니 비교적 접근성을 놓고 본다면 동남아권보다는 역시 중국이 좋긴 함.
그럼, 유럽과 북미시장을 놓고 본다면, 아직 국내 회사 중 콘솔게임으로 영향력을 끼치는 회사가 있는가를 살펴봐야함. 저 위에 있는 회사들 중 정말로 콘솔 시장에 영향을 주는 회사가 있는지를 봐야함. 블리자드 인수도 결국 콜옵때문에 시행하는 건데, 우리나라에서 콜옵과 같은 흥행작과 고정 기대작이 서양에서 먹히는지를 봐야함.
그리고 중국시장에 투자한 우리 기업들 입장도 고려해야함. 게임시장의 역사가 비교적 짧다면 짧을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 게임 역사에서 중국은 언제나 등장한 나라임. 던파나 리니지와 같은 게임들 생각해보면 10년이 넘은 장수게임이며, 지금도 중국에서 거론되는 게임들 중 하나. 리니지는 모바일로 나왔으니 더더욱 접근성이 좋겠지. 배그니 뭐니 해도 고정적인 수입원이 있는 시장을 놓기는 쉽지 않음. 심지어 그것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는 워크, 스타리그도 아직 중국에서 존재했고, 우리나라와 다르게 어떻게든 유지되고 이어가는 중인 걸 보면, 규모의 경제로 본다면 놓치기 힘듬.
3. 대책은 있나?
댓글들 반응보면 중국에 대해서 부정적이긴 함. 당연히 부정적인 것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핑핑이가 마음만 먹으면 셧다운도 시키고, 판호도 안 나오는 상황이니까. 그렇다고 우리가 굽신거리면서 중국에게 길 수도 없는 노릇이니 어려운 건 당연한 거임. 부정적인 내용은 새로운 활로를 뚫자고 스팀이나 이런 곳에 들어간다고 친다면, 그만큼 좋은 게임들이 나와야함. 그리고 중국 내부로 유출된 수 많은 인재들, 기술들을 고려한다면 점차 중국 영향력이 커지는 게임들이 하나둘 나오고, 솔직히 처음에 원신도 생각하면 짭숨이니 뭐니 해도 결국 살아 남았으니.... 영향력이 오히려 커진 것이기도 하니까.
그나마 긍정적인 내용을 이야기한다면, 넥슨도 기존 메이플이 그런 쪽으로 문제가 붉어진 것이지 오픈 준비 중인 워헤이븐이나 스팀에서 나온 데이브 더 다이버 같은 괜춘한 게임들도 나오고, 배그도 그 이전부터 희망고문을 해왔으니까.개인적으로 정부에게 염병을 떨어도 의미가 없는 것이 지금 딱 중간에서 새우 등 터지기 딱 좋은 상황이긴 함.
그리고 솔직히 주가 생각하면 아직까진 우리나라 시장에서 중국 영향이 크다는 건 변치 않는 사실이고 중국에서 반도체 관련해서 중국 제재 동참하는 순간 게임 분야 외에도 다른 분야도 큰 타격 받는 건 당연한 일이니까. 그냥 그러려니하고 생각하는 게 좋음. 그래도 최근 넥슨은 이번에 좀 달달하긴 했음.
hephep2023.05.05 23:36
신고삭제중국이 이렇게 문호를 닫았다 열었다를 반복하고 있음에도 계속해서 중국에 매달려야 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기톨2023.05.07 23:23
신고삭제nft 어쩌고 하지 말고 역량을 길렀어야 했는데 결국 nft 하면서 역량 기를 타이밍을 놓치지까 또 한한령에 무너지는 느낌입니다
buddhakj2023.05.07 23:41
신고삭제세계 시장이 넓은데 아직도 중국에 매달려야 한다면 한국 게임 경쟁력이 약하다고 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