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격과 투구
타격시의 카메라 앵글은 요즘 들어 가장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타석 뒤`이다. 실황 시리즈나 기타 여러 야구 게임에서 이미 익숙한 방식이기 때문에 큰 위화감 없이 게임에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카메라 앵글이 비슷하다고 할지라도 이 게임에는 몇가지 특징적인 부분이 눈에 띈다. 우선 타격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종래의 야구 게임이 타격시 버튼을 `눌러서` 타격을 하는 것과는 반대로 `버튼을 떼는` 동작을 통해 방망이를 휘두르게 된다. 즉 R트리거 버튼을 당기는 동작이 힘을 모으는 동작에 해당하고, 그 트리거 버튼을 놓으면 스윙을 하게 된다는 얘기이다.
또한 투구시에도 색다른 점이 눈에 띈다. 수비측이 투구 코스를 선택할 때 될 수 있으면 타자 쪽에 눈치를 못 채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완벽히 투구내용을 감추기 위해 DC는 플레이어에게 또하나의 모니터를 제공한다. 그것은 바로 비주얼 메모리. 수비측은 비주얼 메모리에 나오는 간이 창에서 자신이 던질 공의 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대편에게는 전혀 들키지 않고 볼 배합을 할 수 있다(따라서 비주얼 메모리가 2개나 필요하다).
수비 모습도 보여주고 싶었다
공격시의 화면은 실황 시리즈와 닮았지만 수비 화면은 전혀 다르다. 수비시에는 수비수의 시점으로 카메라가 전환된다. 공을 잡기 어려울 것 같으면서도 공이 날아오는 방향으로 화살표가 표시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의외로 쉽게 수비에 임할 수 있다. 수비측의 시점에서 수비를 하는 SD 야구 게임은 이것이 최초이다!(별 의미는 없지만)
트레이드를 비롯한 팀 운영도…
프로야구팀을 만들자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었듯이, 이 게임에서도 선수의 트레이드 등을 통해 `팀 운영`의 묘미를 즐길 수 있다. 자신이 필요한 선수가 있다면 끌어오고 있으나 마나 한 선수가 있다면 가차없이 다른 팀으로 보내버리자.
플레이어를 넘어서는 인공지능?
이 게임의 가장 얄미운 점이라면 플레이어의 플레이 습성을 학습한다는 점이다. 계속되는 시합의 결과가 하나하나 VM에 기록되고 컴퓨터는 그 데이터를 가지고 플레이어의 습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매일 똑같은 전법으로 CPU를 상대하다가는 언젠가 큰 코 다치게 될지도.
타격시의 카메라 앵글은 요즘 들어 가장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타석 뒤`이다. 실황 시리즈나 기타 여러 야구 게임에서 이미 익숙한 방식이기 때문에 큰 위화감 없이 게임에 들어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카메라 앵글이 비슷하다고 할지라도 이 게임에는 몇가지 특징적인 부분이 눈에 띈다. 우선 타격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종래의 야구 게임이 타격시 버튼을 `눌러서` 타격을 하는 것과는 반대로 `버튼을 떼는` 동작을 통해 방망이를 휘두르게 된다. 즉 R트리거 버튼을 당기는 동작이 힘을 모으는 동작에 해당하고, 그 트리거 버튼을 놓으면 스윙을 하게 된다는 얘기이다.
또한 투구시에도 색다른 점이 눈에 띈다. 수비측이 투구 코스를 선택할 때 될 수 있으면 타자 쪽에 눈치를 못 채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완벽히 투구내용을 감추기 위해 DC는 플레이어에게 또하나의 모니터를 제공한다. 그것은 바로 비주얼 메모리. 수비측은 비주얼 메모리에 나오는 간이 창에서 자신이 던질 공의 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상대편에게는 전혀 들키지 않고 볼 배합을 할 수 있다(따라서 비주얼 메모리가 2개나 필요하다).
수비 모습도 보여주고 싶었다
공격시의 화면은 실황 시리즈와 닮았지만 수비 화면은 전혀 다르다. 수비시에는 수비수의 시점으로 카메라가 전환된다. 공을 잡기 어려울 것 같으면서도 공이 날아오는 방향으로 화살표가 표시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의외로 쉽게 수비에 임할 수 있다. 수비측의 시점에서 수비를 하는 SD 야구 게임은 이것이 최초이다!(별 의미는 없지만)
트레이드를 비롯한 팀 운영도…
프로야구팀을 만들자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었듯이, 이 게임에서도 선수의 트레이드 등을 통해 `팀 운영`의 묘미를 즐길 수 있다. 자신이 필요한 선수가 있다면 끌어오고 있으나 마나 한 선수가 있다면 가차없이 다른 팀으로 보내버리자.
플레이어를 넘어서는 인공지능?
이 게임의 가장 얄미운 점이라면 플레이어의 플레이 습성을 학습한다는 점이다. 계속되는 시합의 결과가 하나하나 VM에 기록되고 컴퓨터는 그 데이터를 가지고 플레이어의 습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매일 똑같은 전법으로 CPU를 상대하다가는 언젠가 큰 코 다치게 될지도.
![]() | ![]() |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중국어 '비추천' 이어진 이유는?
- 공주는 어려운 게 싫어! ‘실크송’ 이지 모드 다수 출현
- [이구동성] 코유키의 넥슨 안방 침입
- 료스케 PD “디지몬 450종 모델링 리뉴얼, 애정으로 완료”
- 스타듀 밸리 개발자,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성우 참여
- [겜ㅊㅊ] 스팀 정치 시뮬 축제, 구매할 가치 있는 신작 4선
- 딸 키우기 신작 '머신 차일드' 출시, 스팀도 곧
- 네오플 노조, 임시 업무 복귀 후 9월 중 다시 파업하겠다
- [오늘의 스팀] 노 맨즈 스카이 '제 2의 전성기'
- '소녀전선' 스팀판 일본 출시 확정, 한국은?
게임일정
2025년
09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