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장외 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네오플 노조가 쟁의권을 확보하며, 성과금 제도 개선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네오플 노조는 지난 28일, 쟁의 투표 결과 찬성 93.48%(917명), 반대 6.52%(64명)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네오플 노조는 29일 사측과 3차 조정회의에서 진전이 없을 경우, 본격적으로 쟁의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네오플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중국 흥행으로 작년 매출 1조 3,784억 원, 영업이익 9,824억 원이라는 창사 이래 최대 성과를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4월 노조는 사측의 불투명한 성과금 제도를 반대하며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 측에 따르면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중국 출시가 2년 연기되었다는 이유로, 사측에서 기존 신규 개발 성과금 산정 기준을 낮춰 약속했던 보상 중 3분의 2만 지급했다. 이에 노조는 영업이익 4%를 성과금으로 지급하는 ‘프로핏 쉐어(PS)’를 요구했으나, 사측에서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노조 측은 지난 20일 제주 본사 집회를 열었으며, 지난 23일에는 강남 네오플 서울지사 인근에서 장외 집회를 이어갔다.
네오플 노조 조정우 분회장은 지난 23일 서울 집회 당시 “계속해서 사측과의 조정이 결렬될 경우 집회 규모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 밝혔다. 사측에서는 “올해 교섭에서도 기존 보상 체계와는 별도의 보상안을 제시한 바 있다”며, “유저와 구성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빠르고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 전했다.
네오플 노조는 작년 6월 입금 협상 결렬을 발표하며 쟁의를 예고했으나, 당시 약 한 달여간 이어진 조정 끝에 잠정 합의로 마무리된 바 있다. 약 1년 만에 다시 발발한 네오플 노조와 사측과의 교섭이 이전처럼 합의에 도달할지, 혹은 본격적인 쟁의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좋은 기사로 인사드리겠습니다niro201@gamemeca.com
-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 중국어 '비추천' 이어진 이유는?
- '코유키 사태' 블루아카, 외부 접속 원천 차단 등 보안 강화
- [이구동성] 코유키의 넥슨 안방 침입
- 신라 배경 소울라이크 ‘남모’ 스팀 상점페이지 열었다
- 스타듀 밸리 개발자, 할로우 나이트: 실크송에 성우 참여
- 인디게임협회,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로 명칭 변경
- 모호한 인디게임 기준 논쟁, '페르시아의 왕자'에서 재점화
- 캡콤 사장, 몬헌 와일즈 판매 둔화는 PS5가 비싸기 때문?
- 네오플 노조, 임시 업무 복귀 후 9월 중 다시 파업하겠다
- 혹시 신규 DLC? 사이버펑크 새 소식 4일 공개된다
게임일정
2025년
09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