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 뉴스

앱코 "사마 STALLION F01 USB3.0 RGB컨트롤 강화유리 미니타워" 출시

/ 1

 

서울지방중소기업청 선정 2016년 수출유망기업이자 글로벌 ICT 기업으로 발돋움 중인 주식회사 앱코(  www.abko.co.kr 대표 이태화)가 런칭한 대륙NO.1 PC주변기기 브랜드 사마의 STALLION F01 USB3.0 RGB컨트롤 강화유리 미니타워 케이스가 국내 정식출시되었다.


SAMA STALLION 시리즈는 대륙 NO.1 브랜드 SAMA의 보급형에서 고급형을 망라하는 수많은 라인업들 중에서도 특히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대한민국 NO.1 PC 주변기기 기업인 앱코(ABKO)와의 긴밀한 코웍을 통해 탄생한, 한국 유저들의 아이디어와 의견이 수렴된 프리미엄급 한국형 특화 시리즈다.

 
그러한 내용을 반영하듯 SAMA F01 미니타워는 국내 고급 유저들이 필요로하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모두 갖추고 태어났다.

 

  
국내 메인보드 시장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규격은 바로 M-ATX 사이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국내 케이스 시장은 이와 반대로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규격이 ATX 제품군이다. 조립이 불편해서? 또는 구축하고자하는 부품들의 호환성이 부족해서? 미니타워들은 비슷한 가격대의 미들제품보다 구성이 부족해서? 여하튼간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현재 국내에 출시된 미니타워는 아예 고사양 시스템 구성을 배제한 저렴한 보급형 제품이거나 고사양 시스템에 걸맞는 호환성을 지닌 제품의 경우 최소 10여만원을 넘어서는 고가의 제품들 뿐인 것이 현실. 물론 메인스트림급 가격대에 포진한 해외 고급 브랜드의 미니타워 제품들도 일부 찾아볼 수 있지만 그나마 해당 브랜드의 미들타워군 제품들에 비해서는 호환성 면에서든 구성 면에서든 상당한 손색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해외 고급 브랜드 제품들의 스펙을 뛰어넘는 구성을 지녔음에도 7만원대 후반이란 합리적인 가격에 출시된 사마 F01 케이스는 미니보드를 이용해 고급시스템을 꾸리고자하는 실속파 유저들에게는 가뭄의 단비와 같은 제품이 될 수 있다.


먼저 미니타워 제품임에도 커스텀 수로를 구성하기에도 문제없는 넉넉한 내부 공간이 일품이다. 240mm급은 물론이고 280mm급 2열라디형 수랭쿨러를 상단부와 전면부에 모두 설치 가능하고, 후면에는 120/140mm 1열 라디 설치가, 그리고 공랭 방식으로는 최대 182mm 높이의 초대형 타워형 쿨러 설치도 가능하다.   그래픽 카드 역시 최대 410mm 길이까지 문제 없다. 
 

먼저 출시되었던 SAMA의 K901B, K902B 그리고 앱코의 수트마스터 501S, 701S 등 최근 앱코의 고급형 제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느낄 수 있는 강성 넘치는 바디도 신뢰감을 더한다. 주요부위 1T급인 위 제품들에는 못미치나, 주요부위 0.8T급 수준의 강판이 사용되어 빅타워급인 위 제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F01의 체감적인 탄탄함은 1T급의 선배들에 못지 않다.

 

이제 앱코의 트레이드마크라 여겨지는 RGB 광원 컨트롤의 환상적인 연출효과는 추가적인 비용투자 없이도 4T 두께의 프리미엄 강화유리 측창을 통해 비춰보이는 시스템 내부를 화려하게 수놓는다.

 
고급스러움도 남다르다. 내외부을 동일하게 색맞춤한 고급 도장에 풀사이즈 보드까지 염두에 둔 이중의 선정리홀은 고무패킹으로 마감해 깔끔함을 더했고, USB3.0 포트와 오디오포트 및 RGB 광원 컨트롤러와 팬속도 컨트롤러 그리고 SD/TF 카드리더기를 기본 제공하는 멀티포트부도 메탈 타입으로 판넬 마감되어 기능적으로나 감성적인 면에서나 여느 제품들과 다른 확실한 차별성이 느껴진다.


미니보드 시스템으로 누릴 수 있는 모든 것이 가능한 제품, 그 이름은 바로 SAMA STALLION F01 RGB컨트롤 강화유리 케이스다.

 
블랙과 화이트 버전으로 출시된 SAMA F01 제품은 인터넷 최저가 기준 으로 블랙 72,000원, 화이트 79,000원에 만날 수 있으며

기사 제보 및 문의 news@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8